Listening
한국광복군 창설과 초기 운영
특집
한국광복군의 활동
독립의 의지, 군복에 담다: 한국광복군의 군복
해방 후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임시정부
상하이에서 온 소식
조국광복을 위해 목숨 바친한국 독립군의 활약상을 보도한『독립신문』 기사
한민족에게 올해는 일본 제국주의자들로부터 조국이 해방된 지 80주년이 되는 해이자 독립운동사상 가장 빛나는 승첩인 청산리대첩이 있은 지 105주년이 되는 의미있는 해다.
임시정부의 인물들
여성 한국광복군의 활동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국채보상운동과 3·1운동에서 여성들은 학생은 물론 노파·주모·무녀까지 운동에 참여하며 민족해방운동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다.
임시정부의 자료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배지
한국청년전지공작대는 1939년 11월 중국 충칭重慶에서 결성한 항일 무장 조직이었다.
세계의 독립운동
문학을 구심점으로 독립운동의 불꽃을 피운 나라, 폴란드
“폴란드여! 폴란드여! 나는 그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리리라.폴란드의 깃발 아래에서 자유가 다시 태어나고,수난당하는 민족들은 사라지지 않으리라!”
기념관 & 소식
광복 80주년 기념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2025년 상반기 특별전시, 〈한국광복군 그리고 국군〉
삼일절 계기 체험프로그램〈기억해요! 그날의 함성: 대한독립만세〉
자율주행 기반의 문화해설 서비스 인공지능 로봇 ‘큐아이’ 등
전시/교류
'기증자의 벽' 제막식 개최 등
문화/행사
2025년 2/4분기 기념관 주요소식 알림
소식
지난 행사 소식
2025년 상반기 특별전 <한국광복군 그리고 국군>전시관람 이벤트
이벤트
2025년 12호 / VOL.12
2025년 11호 / VOL.11
2024년 10호 / VOL.10
2024년 9호 / VOL.9
2024년 8호 / VOL.8
2024년 7호 / VOL.7
2023년 6호 / VOL.6
2023년 5호 / VOL.5
2023년 4호 / VOL.4
2023년 3호 / VOL.3
2022년 2호 / VOL.2
2022년 1호 / VOL.1
03732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279-24 대표번호 02-772-8708 Copyright © National Memorial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