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위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사

우리나라를 일본에게 뺏겼어요

1910년 우리나라는 을사늑약으로 일본에 강제 합병되었어요. 이 시기 일본은 우리말을 금지하고, 재산을 강제로 뺏어가는 등 우리나라 사람들을 억압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위기를 걱정하던 많은 사람들이 모여 나라를 되찾기 위한 다양한 활동 을 전개하였어요. 이런 활동들은 일본의 탄압을 피해 우리나라와 이웃한 주변국가에서 활발히 이루어졌어요.

의병활동
1907 신민회(국내)
1908 명동학교(북간도)
1909 국민회(미국)
8월 29일 한일병합조약
1910 대한인국민회(미국), 13도의군(연해주), 성명회(연해주)
1911 경학사(서간도), 권업회(연해주), 동제사(중국), 중광단(북간도)
1912 부민단(서간도), 독립의군부(국내)
1913 간민회(북간도), 흥사단(미국)
1914 대조선국민군단(미국), 대한광복군정부(연해주)
1915 대동보국단(중국), 신한혁명당(중국), 조선국민회(국내), 대한광복회(국내), 조선국권회복단(국내)
대동단결선언
1917 조선국민회(국내)
1918 신한청년당(상하이), 한인사회당(러시아)
1919 대한국민의회(러시아), 대한국민회(북간도), 조선청년독립단(일본), 서로군정서(서간도), 신흥무관학교(서간도), 대한독립군(북간도), 한족회(서간도), 의군부(1919), 북로군정서(북간도)
1920 광복군 총영(서간도), 광한단(서간도)
1921 대한국민단(서간도)
1922 대한통의부(서간도), 대한독립군단(북간도)
1924 육군주민참의부(서간도), 정의부(서간도)
1909

국민회 하와이 지방총회 임원들(1909)

1910

을사늑약 체결 당시 대안(한)문 앞에 서있는 일본군들(1910)

1911

신민회 회원들이 일제에 끌려가는 모습(1911)

1912

독립의군부 관리 임명 고종 칙명(1912)

1913

안창호와 흥사단원들(1913)

1914

대조선국민군단의 훈련 모습(1914)

1914

신한청년당의 기관지 『신한청년』(1918)

1918

북로군정서 청산리전투 승전 기념 사진(1919)

1919

을사늑약 체결 당시 대안(한)문 앞에 서있는 일본군들(1910)

국내외 수 많은 사람들이
독립운동
에 참여했어요.

3 · 1운동이 일어났어요

주권을 빼앗긴 우리는 1919년 3월 1일 마침내 독립선언서와 함께
자주 독립을 외치며 만세운동
을 벌였어요.
사람들은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외치며 자유로운 나라를 되찾고자 했어요.
3·1운동은 약 1년간 전국 방방곡곡에서 일어났어요. 비록 3·1운동 후
바로 독립을 이루진 못했지만 국민들의 마음 속에 독립 의지를
굳게 세운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3·1운동으로 전 세계에 한국인의 독립 의지 를 알릴 수 있었어요.

사진으로 기록된 삼일운동

우리의 외침은
어린이부터 여성, 노인까지 참여하는 모두의 것이였고, 우리 스스로 맨손으로 이루어낸 평화적인 외침 이었습니다.

전국으로 확산된 만세운동

숨죽여 지내던 모두가 나와
"독립만세"를 외쳤습니다.
휴대폰도, SNS도 없었지만 만세운동은 순식간에 전국으로 퍼져 나갔습니다.

전세계 한국인들의 참여

일본의 압박을 피해
전 세계에 퍼져 있던
한국인들도 함께 만세를 불렀습니다.

탄압

독립운동에 대한 일본의 탄압은 계속되었습니다.

만세운동 사진1

Demonstration for independence in the Park. The Koreans are seen shouting "Mansei" with their hands up in the air. Not a single man is armed.
공원에서 열린 독립운동 집회에서 한국인들이 손을 들고 "만세"를 외치고 있다. 단 1명도 무기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만세운동 사진2

Thousands of enthusiastic Koreans, including women and girls, shouting "Mansei" with hands in the air outside the palace in Seoul.
궁궐 밖에서 손을 들고 "만세"를 외치는 여성과 소녀를 포함한 수천 명의 열정적인 한국인들.

만세운동 사진3

An immense procession of Korean demonstrators, shouting "Mansei" afrer presenting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o the American Consulate. The Consulate building appears in the background―Seou
미국 영사관에 독립선언서를 제출한 후 "만세"를 외치며 행진하는 대규모의 한국 시위대.

만세운동 사진4
만세운동 사진5
만세운동 사진6
만세운동 사진7
만세운동 사진8

중국(만주)

만세운동 사진9

러시아(연해주)

만세운동 사진10

미국(필라델피아)

만세운동 사진11

3·1운동을 주도한 48인에 대한 재판 기사 (1920년 7월 12일)

만세운동 사진12

3·1운동 관련하여 잡혀가는 한국인들

만세운동 사진13

임시정부가 세워졌어요

우리 민족은 3·1운동을 통해 독립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었어요.
독립운동가들은 조직적으로 이 뜻을 이어 독립된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정부 조직 을 세웠어요. 이러한 조직은 국내와 국외 에서 여러 개가 설립되었고, 1919년 9월 마침내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통합하여 활동하게 되었어요.

임시정부가 세워졌어요

우리 민족은 3·1운동을 통해 독립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었어요.
독립운동가들은 조직적으로 이 뜻을 이어 독립된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정부 조직 을 세웠어요. 이러한 조직은 국내와 국외 에서 여러 개가 설립되었고, 1919년 9월 마침내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통합하여 활동하게 되었어요.

  • 1919년 3월 대한국민의회 설립
    (블라디보스토크)
  •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설립
    (상하이)
  • 1919년 4월 23일 한성정부 설립
    (서울)
  • 1919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성정부, 대한국민의회 통합

통합된 임시정부는 상하이에서 활동했지만, 일본의 탄압을 피해 중국 각 지역을 옮겨 다니며, 우리의 독립운동을 이끌었습니다.

  • 1932 항저우
  • 1935 전장
  • 1937 창사
  • 1938 광저우
  • 1938 류저우
  • 1939 구이양
  • 1939 치장
  • 1940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을 알아보아요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우리 민족의 유일한 정부로서 여러 가지 활동 을 하였어요.
행정부터 독립을 위한 외교활동, 한국광복군 설립 등 국방활동, 세무, 교육, 역사 편찬에 이르기까지 정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어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을 알아보아요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우리 민족의 유일한 정부로서 여러 가지 활동 을 하였어요.
행정부터 독립을 위한 외교활동, 한국광복군 설립 등 국방활동, 세무, 교육, 역사 편찬에 이르기까지 정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어요.

1919년 04월 11일 정부조직 및 각료 선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정
1919년 05월 10일 임시정부 파리강회의에 임시정부 승인 요청 제출
1919년 06월 15일 임시징세령과 인구세 시행세칙 제정‧공포
1919년 07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연통제 공포(국무원령 제1호)
1919년 07월 13일 대한적십자회 조직
1919년 08월 21일 독립신문 창간
1919년 08월 25일 구미위원부 설치
1919년 09월 03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공보 제1호 발간
1919년 09월 23일 『한일관계사료집』 편찬 완료
1919년 09월 11일 마침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19년 10월 3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성립 축하문
1919년 11월 20일 독립공채 발행조례 공포(법률 3호)
1920년 01월 0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신년축하회
1920년 02월 20일 군무총장 노백린, 캘리포니아주에서 한인비행사양성소 설립
1920년 03월 01일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 교민 일동이 ‘3·1절’ 기념식을 거행
1920년 06월 07일 봉오동전투 승리
1920년 10월 20일 청산리전투 승리
1921년 01월 0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신년축하회
1921년 11월 한국대표단 워싱턴회의 참가 시도
1923년 01월 03일 국민대표회의 개최
1927년 04월 11일 대한민국임시약헌 공포(3차 개헌)
1931년 한인애국단 조직
1932년 01월 08일 이봉창 의거(일본 도쿄)
1932년 04월 27일 윤봉길 의거(중국 상하이)
1932년 05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항저우로 이동
1933년 11월 11일 인성학교 정교
1935년 11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전장으로 이동
1935년 11월 04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포고문
1937년 11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창사로 이동
1938년 02월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 결성
1938년 07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저우로 이동
1938년 10월 10일 한국청년전지공작대 결성
1938년 11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류저우로 이동
1939년 05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치장으로 이동
1940년 0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충칭으로 이동
1940년 09월 17일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1941년 12월 18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명의로 대일선전성명서 발표
1941년 11월 28일 대한민국 건국강령 공포
1942년 10월 25일 제 34회 임시의정원 회의
1943년 08월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가 영국군과 인도·버마 전선에서 공동작전 수행
1943년 12월 01일 카이로 선언문 발표
1944년 04월 22일 대한민국 임시헌장 공포(5차 개헌)
1945년 05월 한국광복군과 미국 OSS와의 연합 훈련 실시
1945년 08월 15일 마침내 광복
1945년 11월 23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 제1진 환국
1945년 12월 19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봉영회
19190411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시작, 임시헌장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함

19190510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대한민국이 독립된 국가로 인정 받기 위해 세계 여러나라와의 외교적 노력을 펼쳤습니다.

19190615

지속적인 독립운동과 임시정부의 운영자금은 국민들의 소중한 후원으로 이루어 졌습니다.

19190710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중국 상하이에 세워졌기 때문에 국내 각 지역까지 소통하기 위한 임시연통제를 운영했습니다.

19190713

대한적십자회를 세워 간호병을 양성하였으며 국제적십자사로부터 인승 노력과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했습니다.

19190821

국내외 국민들에서 임시정부와 독립운동 상황을 알리고 민족 의식을 모으기 위해 발간한 독립신문은 창간 당시에는 <독립>이란 이름으로 발행되다가, 10월부터 <독립신문>으로 바꾸어 발행되었습니다.

19190825

미국에서는 구미위원부를 설치하여 독립운동을 후원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190903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정부에서 발행하는 소식지 <공보>를 통하여 정부의 활동들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렸습니다.

19190923

한국의 역사와 일본의 침략사를 자세하게 기술한 <한일관계사료집>은 일본이 한국을 침략한 것에 대한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임시사료편찬회를 발간하였습니다.

19190911

국내의 한성정부, 연해주의 대한국민의회,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3개의 임시정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마침내 통합되었습니다.

19191031

통일 내각을 이루어 성립되었음을 선포하고, 우리 민족이 더 이상 일본의 노예나 전체 정치 아래의 백성이 아닌 민주국의 자유민임을 밝혔습니다.

19191120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독립자금 모집을 위해 공립공채를 발행했습니다. 독립공채 발행에 따른 세부 사항을 19개조로 정리해 알렸습니다.

19200101

먼 땅 상하이에서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우리 고유의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해 함께 모여 기념일을 지켜 나갔습니다.

19200220

독립을 위해 당시 첨단 기술인 항공에 주목하고, 비행사 양성소를 설립하여 30여 명의 학생들에게 무선 통신, 사격, 말타기, 영어 등을 배우게 하였습니다.

19200301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임시정부 성립의 계기가 된 삼일절을 국경절로 정하고 성대한 기념식을 거행했습니다.

19200607

간도 지역 활발히 펼쳤던 독립운동가들의 무장투쟁 승리는 우리 국민들에게 큰 힘을 주었습니다.

19201020

봉오동 승리에 이어 청산리 전투의 승리는 일본 정규군 상대로 일구어낸 값진 승리였습니다.

19210101

신년을 맞아 독립을 위해 활발하게 활동했던 58명의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192111

자주적 독립을 위한 임시정부의 외교적 노력은 계속 되었지만, 미국, 영국 등 강대국들의 이해 관계 속에서 큰 힘을 얻지는 못하였습니다.

19230103

임시정부의 개혁과 독립운동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관심으로 전국의 대표가 한 자리에 모여 임시정부 앞날의 방향을 논의하기도 하였습니다.

19270411

국무위원들이 평등한 권한과 의무를 가지고 국정을 운영하는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한 것이 제3차 개정헌법이었습니다.

1931

한인애국단은 의열투쟁으로 독립에 대한 의지를 알리고 쟁취하여 큰 변화를 이루고자 하였습니다.

19320108

이봉창 의사(1900-1932)는 한인애국단에 가입하고 일본에 건너가 일왕을 제거하기 위해 폭탄을 던졌으나 뜻을 이루지는 못했습니다. 국내외 독립운동에 새로운 동기를 주었습니다. “나는 적성(참된 정성)으로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여 한인애국단의 일원이 되어 적국의 수괴를 도륙하기로 맹서”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19320427

윤봉길 의사(1908-1932)는 상하이 홍커우공원에서 폭탄을 던져 일본 제국의 주요 인사들을 제거하거나 타격을 입혔습니다. 윤봉길 의거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에도 큰 영향을 끼칩니다.

193205

윤봉길 의거 이후, 임시정부의 강경한 독립운동에 일본의 탄압은 거세어져 갔고 임시정부는 상하이를 떠나 중국 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19331111

상하이에서 임시정부가 운영했던 공립학교인 인성학교도 일본의 압력 등으로 문을 닫게 됩니다.

193511

피신한 임시정부는 중국의 전장으로 다시 이동합니다.

19351104

국민들에게 임시정부를 말살하려는 주장에 맞서 일어나 임시정부를 지켜줄 것을 호소하였습니다.

193711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동 속에서도 우리의 삼일절을 기억하며 독립운동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19381010

한국광복군 결성하기 위해 청년들은 모집하고자 결성되었습니다.

193807

중일전쟁(1937-1945)으로 인한 상황에 따라 임시정부는 광저우로 이동하며 활동하게 됩니다.

193811

임시정부는 약 4개월간 광저우에 머물다 류저우로 이동하게 됩니다.

193802

임시정부의 가장 큰 공연이었던 삼일절 기념 공연, 위로금 모금공연 등에 일본에 대항하는 내용은 담은 공연 활동으로 독립의 의지와 단결에 앞장섰습니다.

193905

2년 남짓한 사이 류저우를 거쳐 치장에 머물게 됩니다.

194009

중국 내륙 깊숙한 충칭까지 피난하여 청사를 다시 마련하게 됩니다.

19400917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식 군대인 한국광복군을 정식으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19411218

태평양전쟁이 시작되자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즉각 일본에 전쟁을 선포하고 한민족의 자주 독립 의지를 전세계에 알리게 됩니다.

19411128

임시정부는 독립된 나라에 대한 구상과 미래를 준비합니다.

19421025

제34회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회의는 좌우 세력의 대표들이 모두 참여하였습니다.

194308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식부대 한국광복군은 연합국의 일원으로 영국군과 활동을 펼칩니다.

19431201

이집트 카이로에 모인 미국, 영국, 중국 정상들은 일본과의 전쟁과 전쟁 후 처리 문제에 대해 합의하며 훗날 한국의 독립을 보장할 것을 명시했습니다.

19440422

대한민국 임시정부도 조직을 정비하며 해방을 준비합니다.

194505

미군과 국내 진입을 위한 특수작전을 비밀리에 준비합니다.

19450815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대한민국은 마침내 해방을 맞이합니다.

19451123

광복을 맞이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중국 충칭을 떠나 고국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19451219

국민들은 대한민국 독립을 위해 27년간 노력해온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람들을 열렬히 환영하며 반기었습니다.